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스프링
- 스프링 구글차트로 기간별 현황 조회하기
- Spring Boot가 해결하려고 했던 문제
- 오라클
- 오라클클라우드에 젠킨스 설치하기
- 스프링 Ioc Container
- 스프링 Ioc
- 스프링과 스프링부트 차이점
- 자바왕기초
- 세션
- 자바기초
- 자바 왕기초
- 오라클주별데이터
- 자바
- 스프링 제어역전
- jsp
- 스프링 구글차트
- 스프링 에러
- 썸머노트
- 오라클월별데이터
- maven
- 자바왕초보
- HTML
- 제이쿼리
- 오라클일별데이터
- 자바 기초
- CSS
- 오라클통계
- java
- 스프링 부트가 해결하려고 했던 문제
- Today
- Total
Just Do it
[HTML] 폼(form) 삽입하기 본문
*출처: Do it! 한권으로 끝내는 웹 기본 교과서 HTML+CSS+자바스크립트 웹 표준의 정석, 고경희, 이지스퍼블리싱
CH5. 입력 양식 작성하기
5-1. 폼 삽입하기
1) 폼을 만드는 <form> 태그
<form [속성="속성값"]>여러 폼 요소</form>
- <form> 태그는 몇 가지 속성을 사용해서 입력받은 자료를 어떤 방식으로 서버로 넘길 것인지, 서버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이용해 처리할 것인지를 지정한다. <form> 태그의 속성은 아래와 같다.
종류 | 설명 |
method |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서버 쪽 프로그램으로 어떻게 넘겨줄 것인지 지정한다. method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속성값은 get과 post이다. |
name | 자바스크립트로 폼을 제어할 때 사용할 폼의 이름을 지정한다. |
action | <form> 태그 안의 내용을 처리해 줄 서버 프로그램을 지정한다. |
target | action 속성에서 지정한 스크립트 파일을 현재 창이 아닌 다른 위치에서 열도록 한다. |
autocomplete | 자동 완성 기능. 기본 속성값은 "on"으로 중요한 개인 정보나 인증 번호 같은 일회성 정보를 입력 받을 때는 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 "off"로 지정해주는 것이 좋다. |
2) 폼 요소를 그룹으로 묶는 <fieldset>, <legend> 태그
- 하나의 폼 안에서 여러 구역을 나누어 표시할 때 <fieldset> 태그를 사용한다.
- <legend> 태그는 <fieldset> 태그로 묶은 그룹에 제목을 붙일 수 있다.
<form>
<fieldset>
<legend> 그룹 이름 </legend>
</fieldset>
</form>
3) 폼 요소에 레이블을 붙이는 <label> 태그
- <label> 태그는 <input> 태그와 같은 폼 요소에 레이블을 붙일 때 사용한다.
- 레이블이란 입력란 가까이에 아이디나 비밀번호처럼 붙여 놓은 텍스트를 말한다. <label> 태그를 사용하면 폼 요소와 레이블 텍스트가 서로 연결되어있다는 것을 웹 브라우저가 알 수 있다.
3-1) <label> 태그를 이용하는 첫 번째 방법: 태그 안에 폼 요소를 넣는 것
<label>레이블명<input></label>
<label>아이디(6자 이상)<input type="text"></label>
3-2) <lable> 태그를 이용하는 두 번째 방법: <label> 태그와 폼 요소를 따로 사용하고 <label> 태그의 for 속성과 폼 요소의 id 속성을 이용해 서로 연결하는 것. 다시 말해 폼 요소의 id 속성값을 <label> 태그의 for 속성에게 알려 주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.
<label for="id명">레이블명<input id="id명"></label>
<lable for="user-id">아이디(6자 이상)</label>
<input type="text" id="user-id">
5-2. 사용자 입력을 위한 input 태그
1) <input> 태그의 type 속성
https://www.w3schools.com/html/html_form_input_types.asp
5-3. <input> 태그의 주요 속성
1) 자동으로 입력 커서를 갖다 놓는 autofocus 속성과 필수 입력 필드를 지정하는 required 속성
<input type=텍스트-입력-필드 autofocus required>
2) 힌트를 표시해 주는 placeholder 속성
<label for="phone">연락처</label>
<input type="tel" id="phone" placeholder="하이픈 빼고 입력해주세요.(01012345678)">
3) 읽기 전용 필드를 만들어 주는 readonly 속성
<input type=텍스트-입력-필드 readonly>
5-4. 폼에서 사용하는 여러 가지 태그
1) 여러 줄을 입력하는 텍스트 영역 <textarea> 태그
<textarea>내용</textarea>
<label for="memo">메모</label>
<textarea id="memo" cols="40" rows="4"></textarea>
// cols: 텍스트 영역의 가로 너비를 문자 단위로 지정.
// rows: 텍스트 영역의 세로 길이를 줄 단위로 지정. 지정한 숫자보다 줄 개수가 많아지면 스크롤 막대가 생김.
2) 드롭다운 목록을 만들어주는 <select>, <option> 태그
- 사용자가 내용을 직접 입력하지 않고 여러 옵션 중에서 선택하게 하려면 드롭다운 목록이나 데이터 목록을 사용한다.
- <select> 태그로 드롭다운 목록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고, 그 안에 <option> 태그를 사용해 원하는 항목을 추가한다.
- <option> 태그에는 value 속성을 이용해서 서버로 넘겨주는 값을 지정한다.
<select>
<option value="값1">내용1</option>
<option value="값2">내용2</option>
...
</select>
3) 데이터 목록을 만들어 주는 <datalist>, <option> 태그
- 데이터 목록을 사용하면 텍스트 필드에 값을 직접 입력하지 않고 미리 만들어 놓은 값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.
- 데이터 목록을 만들 때는 <datalist> 태그를 이용해 데이터 목록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고 그 사이에 <option> 태그를 사용해 각 데이터의 옵션을 표시한다.
- 이 때 value 속성을 사용해서 서버로 넘겨줄 값을 지정하는데, 이 값이 텍스트 필드에도 나타난다.
<input type="text" list="데이터 목록 id">
<datalist id="데이터 목록 id">
<option value="서버로 넘길 값1"> 선택 옵션 1 </option>
<option value="서버로 넘길 갑2"> 선택 옵션 2 </option>
</datalist>
4) 버튼을 만들어 주는 <button> 태그
- <button> 태그를 이용하여 폼을 전송하거나 리셋하는 버튼을 삽입할 수 있다.
<button type="submit">내용</button>
<button type="reset">내용</button>
<button type="button">내용</button>
'신입 개발자가 되기 위해 공부했던 독학 자료들 > HTML&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S] CSS 고급 선택자 (0) | 2022.02.23 |
---|---|
[CSS] CSS와 박스 모델 (0) | 2022.02.22 |
[CSS] 텍스트를 표현하는 다양한 스타일 (0) | 2022.02.21 |
[CSS] CSS의 기본 (0) | 2022.02.21 |
[HTML] 웹 문서 주요 구조를 만드는 주요 시맨틱 태그 (0) | 2022.02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