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입 개발자가 되기 위해 공부했던 독학 자료들/자꾸 까먹는 기본 개념 모음
[스프링] 스프링 프로젝트의 로딩 구조
Seojoo21
2022. 2. 7. 21:35
*출처: Chapter05 스프링 MVC의 기본 구조,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개정판, 구멍가게 코딩단, 남가람북스
0. 프로젝트 구동 시 관여하는 XML은 다음과 같다.
- web.xml : Tomcat 구동과 관련된 설정
- root-context.xml: 스프링 설정 파일
- servlet-context.xml: 웹과 관련된 스프링 설정파일
1. 프로젝트 구동은 web.xml 에서 시작한다.
2. root-context.xml이 처리되면 파일에 있는 빈(Bean) 설정들이 동작하게 된다. root-context.xml에 정의된 객체(Bean)들은 스프링의 영역(context) 안에 생성되고, 객체들 간의 의존성이 처리된다. root-context.xml 이 처리된 후에는 스프링 MVC에서 사용하는 DispatcherServlet이라는 서블릿과 관련된 설정이 동작한다.
3. org.springframework.web.servlet.DispatcherServlet 클래스는 스프링 MVC의 구조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클래스다. 내부적으로 웹 관련 처리의 준비작업을 진행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파일이 servlet-context.xml이다.
4. DispatcherServlet에서 XmlWebApplicationContext를 이용해서 servlet-context.xml을 로딩하고 해석하기 시작한다. 이 과정에서 등록된 객체(Bean)들은 기존에 만들어진 객체(Bean)들과 같이 연동된다.